본문 바로가기
🌐 공간정보

[스페이스인] 공간정보의 이해(교원연수 기초) | 1. 공간정보와 실생활

by 일단연 2023. 5. 27.

* 본 글은 공간정보교육포털 '스페이스인'의 [ 공간정보의 이해(교원연수 기초) ] 강의를 듣고 정리한 글입니다.

[공간정보개론]으로는 부족한 것 같아 추가적으로 수강하였습니다.

비교적 과거의 강의이기 때문에 현재의 기술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

 

공간정보교육포털

공지사항서버 재기동(23.04.06)에 따른 공간정보 교육포털 이용 안내 2023-03-24

www.spacein.kr

 

 1. 공간정보와 실생활 

공간정보의 개념

  • 공간정보
    • 위치정보와 속성정보를 모두 가지는 정보
    • 정부 정보의 80%는 위치정보를 가지고 있음
    • 위치정보와 속성정보는 서로 연결되어 있음
    • 위치정보를 선택하면 속성정보를, 속성정보를 선택하면 위치정보를 알 수 있음

위치정보와 속성정보의 관계

  • 공간정보의 구성요소

        위치정보

  • 사물 또는 대상이 있는 위치
  • 위치정보의 취득
    • 측량 및 GPS
    • 항공사진과 위성영상

위치정보의 취득 - 측량 및 GPS, 항공사진과 위성영상

        속성정보

  • 사물 또는 대상이 가지고 있는 특성. 스프레드시트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많은 정보
  • 위치정보에 비해 취득하는 게 더 어렵고 비용도 많이 듦
  • 속성정보의 취득
    • 통계, 관측 데이터
    • 조사, 정보시스템

속성정보의 취득 - 통계, 관측 데이터
속성정보의 취득 - 조사, 정보시스템

 

공간정보의 종류

  • 종이지도와 수치지도
  • GIS

 

공간정보와 실생활의 관계

        공간정보의 실생활 이용

  • 기상예보
  • 버스 도착 정보
  • 맛집 검색
  • 새주소시스템
  • 아르바이트 장소 검색
  • 최단경로 검색

        공간정보와 첨단 정보통신기술

  • 텔레메틱스(Telematics), 위치 기반 서비스, 유비쿼터스 등에 이용됨
  • 텔레메틱스
    • 전자식 요금 징수(=하이패스), VMS(어느 구간이 막히는지 표시), 차량 관리, 긴급구난, 무선통신, 교통정보 등에 활용됨 > GPS, 지도가 필수적으로 이용됨

  • 위치 기반 서비스(Location Based Service)
    • 사용자의 위치에 기반한 모든 서비스
    • 예: 배달 앱, 안심 귀가 서비스, 전과자 위치 표시 등

  • 유비쿼터스(Ubiquitous)
    • 라틴어로 ”언제 어디서나 존재하는”이라는 뜻
    • 사물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, 통신망, 컴퓨터 등을 이용해 모든 것들이 종합적으로 관리될 수 있는 시스템
    • 예: 홈네트워킹 아파트, 유비쿼터스 도시, 가로수 RFID칩으로 가로수 관리하는 시스템 등

        빅데이터

  • 가치(value) 있는 데이터를 창출
  • 빅데이터의 특성 3가지
    • 크기(volume)
      • MB, GB 단위 규모에서 TB, PB, EB, ZB 단위로 발전
    • 다양성(variety)
      • 정형 데이터(고객 신상, 매출, 재고, 회계 데이터 등)에서 비정형 데이터(동영상, 음악, 메시지, 소셜미디어, 위치정보, 게시물 등)까지 다룸
    • 속도(velocity)
      • 수시간~수주에서 분, 초 단위까지 유통 활용 주기가 확장됨
  • 빅데이터는 유동적인 정보를 갖고 있음
    • 유동적인 정보가 위치정보를 갖는 경우가 매우 많기 때문에 빅데이터에 있어서도 공간정보가 중요한 역할을 함

  • 예시 1소상공인을 위한 위치별 매출 예측 시스템
    • 유동인구, 상주인구, 주변의 매출 정보 등 많은 빅데이터 활용

  • 예시 2서울시에서 운영하는 시내 버스 노선
    • 심야시간의 유동인구 데이터를 면밀히 분석한 결과로 선정한 노선

  • 예시 3) 서울시 유동인구 지도
    • 인구 수, 연령대, 시간대 등 많은 빅데이터 활용

  • 예시 4) 강남역 주변의 연령대별 소비 패턴 (좌: 청년층, 우: 장년층)
    • 연령에 따라 소비 패턴이 매우 다름을 알 수 있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