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🌐 공간정보

[스페이스인] 공간정보개론 | 2. GIS의 주요 기능

by 일단연 2023. 5. 26.

* 본 글은 공간정보교육포털 '스페이스인'의 [공간정보개론] 강의를 듣고 정리한 글입니다.

비교적 과거의 강의이기 때문에 현재의 기술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

 

공간정보교육포털

공지사항서버 재기동(23.04.06)에 따른 공간정보 교육포털 이용 안내 2023-03-24

www.spacein.kr

 

 2. GIS의 주요 기능 

공간정보 관리

  • GIS에서 위치의 표현은 가장 기본적인 공간자료 특성
  • GIS에서 위치 표현방법: 절대적 좌표값과 상대적 좌표값으로 구분됨

 

공간관계 분석

  • 객체 간 공간관계의 특성
    • 인접성
      • 대상물과 그 주변에 존재하는 다른 대상물과의 관계
      • 예: 산과 하천은 인접한다. / 산과 집은 인접하지 않다.
    • 연결성
      • 실제로 연결된 대상물 간의 관계
      • 예: 산과 하천은 연결되어 있고, 집은 연결되어 있지 않다.
    • 근접성
      • 특정 거리나 위치 내 존재하는 대상물들 간의 관계
      • 예: 하천은 집에서 15km 이내에 존재한다.

 

공간과 속성정보의 연계

  • 속성자료
    • 대상물에 대한 정보, 특성에 대한 설명 자료
    • 비공간적 자료를 포함하여 양과 질의 특성을 소유함
    • 속성자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며, 데이터베이스 간의 관계를 정리한 것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
    • GIS는 공간과 연계된 속성정보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형태로 관리함

 

패턴과 상호관계

  • 지도상에 있는 모든 대상물들은 상호 다양한 형태의 공간적 관계를 유지
  • 어떤 공간적 패턴으로 상호 존재하는가에 대한 것이 분석과정에서 매우 중요하며, 컴퓨터 기술을 통해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려운 것을 규명해낼 수 있음
  • 예시

 

변화와 추이

  • 공간은 끊임없이 변화함
  • GIS를 통해 변화 추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미래도 예측할 수 있음
  • 예시 1

  • 예시 2
    • 강원도 삼척 지역의 1910년대의 지형도, 2002년 태풍 매미에 의한 수해지역 지형도, 오늘날 지형도를 중첩한 지도
    • 1910년대의 하천 부지가 오늘날 도심으로 개발되었고, 2002년 집중호우로 인해 도시 전체가 침수 피해를 입었음을 유추할 수 있음

 

공간의사결정 지원

  • GIS는 실세계(Real World) 현상을 사용 목적에 부합하도록 분석해 최종 의사결정자가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해주는 역할을 함

  • GIS는 공간상에 나타나는 형태를 발견하고 새로운 모형으로 정립하여 구현하는 데에 유용하게 이용됨

  • 복잡한 현실세계를 이해하기 쉬운 모형으로 단순화시켜 의사결정을 도움

 

자료의 출력

  • GIS는 여러 형태로 결과물을 제공
    • 화면 출력, 도면 출력, 각종 통계, 표 형태의 자료, 보고서, CD 등의 전자매체에 수록
  • 예시
    • A: 풍력 발전을 위한 풍력에너지를 평가한 지도
    • B: 활용가능한 바이오메스에너지의 총량을 나타낸 지도
    • 최종 의사결정자에게 풍력에너지와 바이오메스에너지의 공간적 분포를 도면 형태로 제공함으로써, 보다 효율적이고 객관적인 의사결정을 유도할 수 있음

 

정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