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🌐 공간정보

[스페이스인] 공간정보의 이해(교원연수 기초) | 3. 공간정보 관련 기술 - GIS

by 일단연 2023. 5. 29.

* 본 글은 공간정보교육포털 '스페이스인'의 [ 공간정보의 이해(교원연수 기초) ] 강의를 듣고 정리한 글입니다.

[공간정보개론]으로는 부족한 것 같아 추가적으로 수강하였습니다.

비교적 과거의 강의이기 때문에 현재의 기술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

 

공간정보교육포털

공지사항서버 재기동(23.04.06)에 따른 공간정보 교육포털 이용 안내 2023-03-24

www.spacein.kr

 

 3. 공간정보 관련 기술 

  • 공간정보 관련 기술은 크게 GIS, 원격탐사, GPS로 구분됨

 GIS 

        GIS 정의

  • 공간정보의 수집, 저장, 갱신, 처리, 분석
  • 많은 데이터를 활용해 고부가가치의 정보를 산출
  • 정보를 산출하기 위한 하드웨어, 소프트웨어, 인적자원의 집합체

 

        GIS 구성요소

  • 하드웨어
  • 소프트웨어
  • 데이터베이스
  • 작업 절차
  • 인적자원(조직 및 인력)

  • GIS 구성요소 중 가시화 가능한 하드웨어, 소프트웨어, 데이터베이스의 종류

 

        GIS 특성

  • 정보시스템의 중요 분야 (사회간접자본의 역할을 수행)
  • 대표적인 융합학문, 융합기술

 

        GIS: 국가 차원의 발달

  • 국가 단위의 공간정보 수집 필요성
    • 캐나다: 자원 관리를 위한 CGIS에서 출발
    • 미국: 통계국의 센서스 조사를 위한 DIME, TIGER
    • 한국: 국가 차원의 인프라 구축의 필요성 (1995 대구 가스 폭발 사고 등의 안전사고)
  • 사회간접자본의 성격 (국가공간인프라)
  • 고도화 사회에서 공간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수단

 

        GIS 유형별 구축 콘텐츠

 

        1-3차 국가 GIS(NGIS)

  • 1차: 종이도면의 상태를 전산화
  • 2차: 1차의 전산화 작업을 바탕으로, 부문별로 기본적인 지리정보 구축
  • 3차: 1차와 2차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각 부처별로 많은 사업을 진행하며 실제 응용할 수 있는 부분들에 중점을 둠

 

        4차 국가 GIS(NGIS): 국가공간정보정책

 

        GIS 활용분야: 공공

  • 3차원 공간 정보 구축 사업의 산출물: VWORLD

  • 도시 계획 정보 체계 구축 사업: UPIS

 

        GIS 활용분야: 민간

  • gCRM: 수요고객층 분석, 고객 관리
  • 상권 분석
  • 입지 분석

 

        GIS 활용분야: 실생활

  • 지도 서비스
  • 증강현실
  • 위치 기반 서비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