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 본 글은 공간정보교육포털 '스페이스인'의 [ QGIS 실습 ] 강의를 듣고 정리한 글입니다.
비교적 과거의 강의이기 때문에 현재의 기술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
공간정보교육포털
공지사항서버 재기동(23.04.06)에 따른 공간정보 교육포털 이용 안내 2023-03-24
www.spacein.kr
3. 레이어 편집 및 생성
속성에 따라 피처 선택 및 편집
- 레이어의 속성정보에서 원하는 정보를 조회해서 얻을 수 있음
1. 표현식을 이용해 객체 선택
- 종류 필드의 값들 중에서 ‘아파트’에 해당하는 데이터만 선택해 다른 파일로 추출할 것
- 1) 레이어 우클릭 > 속성 테이블 > 상단 바의 ‘표현식을 이용해 객체 선택’ 클릭
- 2) 검색창에 ‘종류’ 검색 후 ‘종류 더블클릭(표현식에 “종류”라고 입력됨) > 값 검색창에 ‘아파트’ 입력 후 엔터(표현식에 “종류” = 라고 입력됨) > 아파트 더블클릭(표현식에 “종류” = ‘아파트’라고 입력됨) > ‘객체 선택’ 클릭
2. 표현식을 이용해 선택한 객체만 저장(별도의 파일로 추출)
- 방법 3가지 (모두 같은 결과)
- 레이어 > 다른 이름으로 저장 > 파일 이름과 경로 지정 > ‘선택된 객체만 저장’ 클릭 > ‘확인’ 클릭
- 레이어 우클릭 > Export > 객체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 > 파일 이름과 경로 지정 > ‘선택된 객체만 저장’ 클릭 > ‘확인’ 클릭
- 레이어 우클릭 > Export > 선택한 객체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 > 파일 이름과 경로 지정 > ‘확인’ 클릭
- ㅋ아파트 선택 + Kakao Hybrid 중첩 결과
- 각각의 아파트 면이 몇 동에 해당되는지를 볼 수 있음
위치에 따라 피처 선택 및 편집
- 목적: 아파트 주변의 일정 거리 내에 보안(방범)등이 몇 개나, 어디에 위치하는지 확인
- c0220000 추가 + 해당 레이어 속성 테이블에서 보안(방범)등만 선택
- 아파트에 일정 경계의 완충 구역을 지정: 버퍼 이용
1. c0220000 레이어 추가
- c0220000: 시설 중에서도 조명의 위치를 저장하고 있는 점 데이터
2. 버퍼를 이용해 아파트에 일정 경계의 완충 구역을 지정
- 벡터 > 지리 정보 처리 도구 > 버퍼
- > 입력 벡터 데이터는 앞에서 추출한 아파트 면 데이터로 선택 > 버퍼 거리: 10m로 설정 > 아파트 면 데이터에서 10m까지의 외곽 영역이 별도의 파일로 추출됨
- 결과
- 아파트 면 데이터에서 10m까지의 외곽 영역이 새 레이어로 추출됨
3. 버퍼 구간 내에 조명 데이터가 몇 개나, 어디에 포함됐는지를 확인
- 벡터 > 지리 정보 처리 도구 > 잘라내기(clip)
- 입력 레이어로는 점 데이터를, 중첩 레이어로는 버퍼 영역 데이터를 선택 > 실행
- 결과
- 아파트에서 10m까지의 거리 내에 있는 조명이 표시됨
레이어 스타일 설정
- 레이어를 보다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색, 폰트 크기, 라벨 등을 설정할 수 있음
- 방법 1: 레이어 우클릭 > 속성 > 심볼 / 라벨
- 방법 2: 레이어 창에서 붓 버튼 클릭 or F7 단축키 > 우측에 레이어 스타일 작업 창이 뜸
1. 심볼
- 색, 모양 등을 바꿀 수 있음
- 하단의 레이어 렌더링 클릭 > 그리기 효과 체크 > 그 옆의 별 버튼 클릭 > 외부 글로우를 적용하면 심볼을 더 강조할 수 있음
2. 라벨
- 공간정보 속성테이블에서 특정 값을 도형 위에 키워서 보여주는 기능
- 레이어 선택 > 라벨 종류 선택 > 강조할 필드 선택 > 폰트, 폰트 크기 등을 설정 >
- 버퍼 탭에서 텍스트 버퍼 설정 (글자 외곽 설정)
- 라벨 설정 결과
- 아파트의 동 표시
3. 레이어 스타일 2.5D 설정
- 면 데이터를 2.5D를 이용해 입체적으로 보이게 할 수 있음
- 레이어 창에서 붓 버튼 클릭 or F7 단축키 > 레이어 스타일 작업 > 심볼 > 심볼 종류 중 2.5D 선택 > 높이 설정 > 지붕/벽면 색상, 음영을 설정
3-1. 레이어 스타일 2.5D 설정 - 높이 옵션
- 실제 아파트 높이(1층당 2.6m)를 표현하기 위해 계산식 사용
- 계산식: “층수” * 2.6
레이어 생성하기
1. 새 Shape 파일 레이어 생성
- 레이어 > 레이어 생성 > 새 Shape 레이어 > 파일명, 인코딩, 도형 유형, 좌표계 등을 설정
2. 객체 추가
- 1) 상단 바의 ‘편집 모드 켜고 끄기’ > 객체 추가 > 지도에서 도형의 외곽 vertex들을 클릭 > 우클릭하면 객체를 저장할 수 있는 창이 뜸
- 2) 지도에서 도형의 외곽 vertex들을 클릭 > 우클릭하면 객체를 저장할 수 있는 창이 뜸
- 3) 위의 도형에서 우클릭하면 객체를 저장할 수 있는 창이 뜸 > 필드 값을 추가해 객체 추가
- 필드 값은 기존 레이어의 필드 값을 활용
- 4) 결과: 완성된 폴리곤
'🌐 공간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페이스인] 위성영상처리 | 1. 위성영상처리 (0) | 2023.06.07 |
---|---|
[스페이스인] QGIS 실습 | 4. 좌표정보 가공 및 공간통계 시각화 (0) | 2023.06.07 |
[스페이스인] QGIS 실습 | 2. 투영법 정의 및 지오메트리 계산 (0) | 2023.06.05 |
[스페이스인] QGIS 실습 | 1. QGIS 설치, 오픈데이터 다운로드, QGIS에서 수치지도 데이터 열어보기 (0) | 2023.06.05 |
[스페이스인] 오픈소스와 공간정보의 만남 | 오픈소스 기반 공간정보기술 활용사례 2: 오픈소스 GIS 기반 공간분석 및 지도디자인 사례 (2) | 2023.06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