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🌐 공간정보

[스페이스인] QGIS 실습 | 1. QGIS 설치, 오픈데이터 다운로드, QGIS에서 수치지도 데이터 열어보기

by 일단연 2023. 6. 5.

* 본 글은 공간정보교육포털 '스페이스인'의 [ QGIS 실습 ] 강의를 듣고 정리한 글입니다.

비교적 과거의 강의이기 때문에 현재의 기술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

 

공간정보교육포털

공지사항서버 재기동(23.04.06)에 따른 공간정보 교육포털 이용 안내 2023-03-24

www.spacein.kr

 

 1. QGIS 설치, 오픈데이터 다운로드, QGIS에서 수치지도 데이터 열어보기 

QGIS 설치

 

QGIS 프로젝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!

여러분의 GIS 작업에 QGIS를 사용해 보세요.

qgis.org

  • QGIS의 역사
    • 공간 데이터 조회, 편집, 분석 기능을 지공하는 데표적인 오픈소스 GIS SW
    • 게리 셔먼(Gary Sherman)이라는 개발자가 2002년 초부터 개발 착수, 시작
    • 2007년부터 OSGeo 인큐베이터 프로젝트로 선정. 2009년 1월 1.0 버전 공개
    • 초기에는 Quantum GIS라는 이름을 갖고 있었음
  • QGIS 설치관리자 유형
    • Latest release: 최신 버전
    • Long term release repository: 장기 안정화 버전
    • 고급사용자용: 여러 오픈소스 SW를 함께 설치할 수 있음

  • QGIS 설치

QGIS 설치 과정
QGIS 실행 중
QGIS 설치 완료 화면

  • QGIS 기능 안내
    • QGIS Desktop: 실제 QGIS의 기능을 살펴볼 수 있는 실행 화면
    • OSGeo Shell: QGIS에 익숙해지면 커맨드라인에서 직접 명령어를 입력해 QGIS를 사용할 수 있음
    • QGIS Browser: 공간 데이터를 보다 쉽게 열람할 수 있는 브라우저 기능
    • Qt Designer: QGIS에서 개발자가 되어 QGIS 소프트웨어를 보다 발전시킬 때 쓰는 기능
    • SAGA GIS: QGIS와는 별도의 GIS SW. QGIS에서 SAGA GIS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음

 

오픈데이터 다운로드

 

메인

 

map.ngii.go.kr

  • 2. 메인 화면에서 ‘수치지도’ 클릭

국토정보플랫폼 메인

  • 3. 원하는 지역 검색
    • 1) 통합검색으로 건물명을 검색
    • 2) 간편지도 검색으로 인덱스를 설정
      • ‘마포구청’ 통합검색 > 간편지도 검색 클릭해 인덱스를 1:1,000으로 설정
      • 인덱스는 좌측 상단의 간편지도 검색 박스나 우측 하단의 바에서 조정 가능
    • 3) 도엽 선택 > 수치지형도 종류가 나타남
      • 도엽: 일정한 도식과 분할되어 한정된 방향으로 통일된 지역을 자른 도면 형식
  • 4. 다운로드
    • 1) 수치지도 2.0 선택
    • 2) 인덱스를 1:1,000으로 설정 > ‘(서울1961)376081961’ 옆 체크박스 클릭 > 다운로드 > 신청서 작성 > 파일 전송 프로그램 INNORIX 설치 > 전체 다운로드
      • 다운로드한 수치지도의 확장자는 .shp, .shx, .dbf, .prj
      •  
공간 데이터 파일 유형 - ESRI Shapefile
.shp 쉐이프 포맷 : 도형 파일 (벡터 형식)
.shx 쉐이프 인덱스 포맷 - 도형의 위치, 방향 정보
.dbf 속성 포맷 - 각 도형의 속성정보, 데이터베이스 포맷
.prj 좌표정보
sbn, sbx 도형의 공간 인덱스 - 공간 로딩 속도를 빠르게 해주는 부가적인 파일
shp.xml 공간 메타데이터 xml 포맷
.cpg 속성정보 코드페이지 저장

국토정보플랫폼 메인 > 수치지도 화면 > 1) 통합검색으로 건물명을 검색 - ‘마포구청’
국토정보플랫폼 메인 > 수치지도 화면 > 2) 간편지도 검색으로 인덱스 설정
국토정보플랫폼 메인 > 수치지도 화면 > 3) 도엽 선택 > 수지지형도의 종류가 나타남
국토정보플랫폼 메인 > 수치지도 화면 > 4) 수치지도 2.0 선택
국토정보플랫폼 메인 > 수치지도 화면 > 4) 수치지도 2.0 선택 > 다운로드 > 신청서 작성
국토정보플랫폼 메인 > 수치지도 화면 > 4) 수치지도 2.0 선택 > 다운로드

 

국토정보맵 검색 방법

  • 통합검색, 지명 검색, 국가기준점 검색, 국가 관심지역 검색, 간편지도 검색 > 모두 좌측 상단에 위치
    • 보통 통합검색이나 지명 검색으로 주소나 지명을 입력해 검색
    • 간편지도 검색: 인덱스, 영역, 반경, 행정구역, 간편선택

국토정보플랫폼 메인 > 수치지도 화면
국토정보플랫폼 메인 > 수치지도 > 통합검색, 지명 검색, 국가기준점 검색, 국가 관심지역 검색
국토정보플랫폼 메인 > 수치지도 > 통합검색, 지명 검색, 국가기준점 검색, 국가 관심지역 검색

 

수치지형도의 개념과 종류

  • 수치지형도의 개념
    • 측량 결과에 따라 지표면 상의 위치와 지형 및 지명 등 여러 공간저오를 일정한 축척에 따라 기호/문자 등으로 표시해 정보 시스템에서 분석, 편집, 입력, 출력할 수 있도록 제작된 지도 > 도로, 건물 등의 지형지물을 전산화해서 만든 지도

  • 수치지형도의 종류
    • 수치지형도 1.0
      • 1990년대 중반부털 제작된 DXF 파일 형식의 자료로, 지형지물의 표현에 중점을 두어 별도의 속성정보가 없는, 도형정보로만 이루어진 수치지형도
    • 수치지형도 2.0
      • 2000년대 이후 제작된 SHP, NGI 파일 형식의 자료. 단순 도형정보만 담은 수치지형도 1.0의 한계를 개선해 지형지물의 표현뿐만 아니라 기존 수치지형도에서 볼 수 없었던 각 지형지물들의 속성정보를 추가함
      • 예: 수치지형도 1.0에서는 건물 모양만 표현 > 수치지형도 2.0에서는 건물의 용도, 층수, 높이 등 속성자료가 추가됨
    • 연속수치지형도
      • 2010년 이후 제작된 SHP 파일 형식의 연속화된 수치지형도
      • 수치지형도 1.0과 수치지형도 2.0의 경우 도엽별로 제작 및 관리가 됨
        • 도엽: 일정한 도식과 분할되어 한정된 방향으로 통일된 지역을 자른 도면 형식
      • 수치지형도 1.0과 수치지형도 2.0의 경우 도엽 경계 간 정보가 단절되는 한계가 있으나, 연속수치지형도는 이 한계를 보완
    • 온맵
      • 도형정보만 포함
      • 문자와 기호로 속성정보를 대체
      • 배경영상 포함
      • PDF 형태로 제공됨

 

오픈데이터 플랫폼

 

수치지도 포맷 변환하기

  • 국토정보플랫폼의 수치지형도 데이터는 QGIS에서 호환되지 않기 때문에 포맷을 변환해줘야 함
    • .ngi, .nda 포맷을 QGIS에서 호환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해야 함
    • 현재 다운로드한 수지지도 포맷은 .shp, .shx, .dbf, .prj 이라 사실상 변환이 필요없으나, 수치지도 포맷에 대해 더 깊게 이해하기 위해 강의를 끝까지 들었음
  • 1) 국토지리정보원 공식 홈페이지 접속: https://www.ngii.go.kr/
  • 2) 국토지리정보원 상단 메뉴 > 콘텐츠센터 > 자료실 > ‘프로그램’ 클릭 후 SMART 검색 > ‘수치지도 활용 S/W 업데이트 공개’ 글 클릭
  •  

3) 수치지도활용소프트웨어_Setup_110822.zip’ 파일 다운로드 > 압축 해제

  • 3) '수치지도활용소프트웨어_Setup_110822.zip’ 파일 다운로드 > 압축 해제

수치지도 활용 S/W 업데이트 공개 > '수치지도활용소프트웨어_Setup_110822.zip’ 파일 다운로드 > 압축 해제

  • 4) 수치지도 활용 SW(NGIMap 1.0 - 공개 버전) 실행
    • 파일 > 열기 > 국토정보플랫폼에서 다운로드한 수치지도 2.0 ngi 포맷 선택

수치지도활용소프트웨어_Setup_110822.zip’ 파일 다운로드 > 압축 해제
수치지도활용소프트웨어_Setup_110822.zip’ 파일 다운로드 > 압축 해제
NGIMap 1.0 - 파일 > 열기 > 국토정보플랫폼에서 다운로드한 수치지도 2.0 ngi 포맷 선택한 결과

  • 5) 수치지도 포맷 변환
    • 포맷 변환 > 다중 포맷 변환 클릭
    • 변환 타입: NGI > SHP(수치지도) 로 변경
      • *.ngi, *.nda 포맷 > *.shp, *.shx, *.dbf 포맷

NGIMap 1.0 - 포맷 변환 - 다중 포맷 변환 - 변환 타입: NGI > SHP(수치지도) 로 변경
NGIMap 1.0 - 포맷 변환 - 다중 포맷 변환 - 변환 타입: NGI > SHP(수치지도) 로 변경한 결과

 

QGIS에서 수치지도 데이터 열어보기

  • 레이어 > 레이어 추가 > 벡터 레이어 추가 (or Manage Layers Toolbars > 벡터 레이어 추가)

레이어 > 레이어 추가 > 벡터 레이어 추가

  • 벡터 데이터셋 옆의 버튼을 눌러 파일 열기 > .shp 파일을 클릭 > 추가 버튼 클릭

  • 벡터 데이터셋 옆의 버튼을 눌러 파일 열기 > .shp 파일을 클릭 > 추가 버튼 클릭

레이어 > 레이어 추가 > 벡터 레이어 추가한 화면

  • 위 사진에서 레이어에 마우스 오른쪽 클릭 > 레이어 좌표계 > 레이어 좌표계 설정 > Korea 2000/Cetral Belt 2010 (권한 ID: EPSG:5186) 선택

위 사진에서 레이어에 마우스 오른쪽 클릭 > 레이어 좌표계 > 레이어 좌표계 설정
레이어 좌표계 > 레이어 좌표계 설정 > Korea 2000/Cetral Belt 2010 (권한 ID: EPSG:5186) 선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