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 본 글은 [뉴렉처]의 Servlet&JSP 프로그래밍 강의를 듣고 정리한 글입니다.
2020 Servlet&JSP 프로그래밍
www.youtube.com
웹 문서 추가하기
Tomcat 디렉토리 구조
디렉토리 이름 | 설명 |
bin | 톰캣을 실행하고, 종료시키는 스크립트 (.bat , .sh 등) 파일이 들어있음 |
conf | 서버 전체 설정파일 폴더 ( server.xml 등 ) |
lib | 톰캣구동하는데 필요한 라이브러리(jar)가 들어있음 |
logs | 예외 발생 사항 등의 로그 저장 |
temp | 임시 저장용 폴더 |
webapps | 웹 어플리케이션 폴더 |
work | jsp 파일을 서블릿형태로 변환한 java 파일과 class 파일이 저장 |
Tomcat의 주요 파일
파일 이름 | 설명 |
context.xml | 세션,쿠키 저장 경로 등을 지정하는 설정 파일 |
server.xml | Tomcat의 주 설정 파일로 접근/접속에 관한 설정이 주를 이룸 |
web.xml | Tomcat의 환경설정 파일이며 서블릿, 필터, 인코딩 등을 설정할 수 있음 |
가장 먼저 읽는 파일 DefaultServlet 지정 및 Servlet-mapping |
Tomcat의 기능
- WAS + 자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필요한 웹 서비스 기능
- 웹서버라고 볼 수도 있음 > 웹 문서를 제공해주는 서비스를 함
테스트 문서 만들고 Tomcat으로 서비스하기
- 웹 서버는 예약되어 있는 특정 폴더에 문서를 저장하고, 다른 원격 컴퓨터의 브라우저에 웹 서버의 주소와 함께 리소스(파일)를 입력하면 그 파일을 돌려줌
- 1) webapps > ROOT에 테스트 문서 저장
- webapps > ROOT: 문서를 보관하는 홈 디렉토리
- 2) 브라우저에 localhost:8090/helloworld.txt 입력
- 결과
- localhost:8090/ 과 localhost:8090/index.jsp 의 결과가 같음
- localhost:8090/에서 /는 홈 디렉토리를 의미
- / 뒤에 index.jsp가 생략되어 있음 (localhost:8090/index.jsp)
- index.jsp 파일이 기본문서라는 의미
- localhost:8090/ 과 해당 컴퓨터 IP 주소:8090 의 결과도 같음
- 같은 와이파이를 쓰는 기기라면 똑같이 접속 가능
- IP 주소 확인하는 방법
- cmd에 ipconfig 명령어 입력하면 IPv4 Address로 나옴
'☕ Java 웹 프로그래밍 > Servlet & JS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ervlet&JSP] 서블릿 프로그램 만들기 (0) | 2023.05.23 |
---|---|
[Servlet&JSP] Context 추가하기 (0) | 2023.05.23 |
[Servlet&JSP] 실행환경 구축 - Tomcat 설치 (0) | 2023.05.23 |
[Servlet&JSP] Web Server와 WAS의 차이 (0) | 2023.05.23 |
[Servlet&JSP] 웹 서버 프로그램과 Servlet (0) | 2023.05.23 |